티스토리 뷰
흔들림 증후군 증상 우리 아기 혹시?
아기가 원인을 알 수 없는 울음을 그치지 않을 때, 부모들은 아이를 어떻게 달랠까요? 쪽쪽이를 물려줘 보기도 하고, 배가 고파서 그러나 싶어 젖을 물려 보기도 하고 간식을 주는 등 아기의 필요성을 충족시켜 주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아기가 계속 운다면 아마 부모들은 아이를 안고 가볍게 흔들며 아이를 달래주려고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혹은 평소에도 아기가 재밌어한다는 이유로 아기를 위아래로 크게 흔들며 놀아주는 부모들도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아기를 흔드는 행위가 아기에게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아이가 쉐이큰 베이비 신드롬(shaken baby syndrom) 즉, 흔들림 증후군을 겪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아기 흔들림 증후군은 무엇이며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태어난 지 얼마 안 돼 목을 스스로 가누지 못하는 아이들 혹은 목을 가눌 수 있지만 아직 머리를 지택하는 목 근육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은 아기들은 작은 흔들림에도 뇌가 크게 흔들리게 됩니다. 아기는 어른과는 달리 놔와 두개골 사이에 공간이 있습니다. 또한 두개골 자체도 많이 약합니다. 또한 뇌가 전체 몸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어른은 2%인 반면 아기는 어른에 비에 몸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0%나 될 정도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흔들림 증후군에 취약합니다. 아기를 품에 안고 살짝살짝 흔드는 것 이상으로 아기를 크게 흔들거나 아기가 머리에 큰 충격을 받으면 그 충격이 고스란히 아기의 몸에 전달됩니다. 이때 뇌도 같이 흔들리며 아기에게 흔들림 증후군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혹은 어른이 아기를 일부러 흔들지 않아도 흔들림이 많은 아기용품을 사용할 경우에도 아기의 뇌는 흔들리는 충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흔들림 증후군이 심한 경우에 아기는 실명, 사지 마비, 외출혈, 망막출혈, 경련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기의 흔들림 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중요합니다. 첫째, 아직 목을 가누지 못하는 아기를 안을 때에는 꼭 손으로 아기의 목뒤를 받쳐주어야 합니다. 아기의 목을 받쳐주지 않은 채 아기를 들어 올리면 아기의 목이 앞이나 뒤로 심하게 꺾이게 되며 이동 시 아기의 뇌가 흔들리게 됩니다. 둘째, 아기가 즐거워한다는 이유로 아기를 높이 들어 살짝 던졌다가 받는 등 아기를 심하게 흔드는 행위를 하지 않습니다. 간혹 흔들림 증후군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부모들은 아기의 웃는 모습을 보고 아기를 심하게 좌우로 흔든다거나 아기를 가볍게 던졌다가 받는 행위 등을 하고는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행위는 아기가 즐거워할 수는 있으나 아기의 뇌가 흔들림에 방치당하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우는 아기를 달랜다고 아기를 심하게 흔들어서도 안됩니다. 넷째, 아기의 뇌 흔들림에 안전한 아기용품을 사용합니다. 아기가 자주 타게 되는 유모차, 바운서 혹은 카시트 등의 물건을 선택할 때 아기의 뇌를 흔들림에서 충분히 보호해 줄 수 있는 용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아기의 목을 받쳐줄 수 있는 목베개를 같이 사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그런데 아기의 흔들림이 아기에게 안 좋은 영향만 끼치는 것은 아닙니다. 아기와 함께 안전하게 흔들기 놀이를 하면 아기의 엔도르핀 형성되며 부모와의 애착관계 형성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아주 어린 아기일 때에는 아기의 뇌 흔들림에 대해 좀 더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지만 점점 자라나는 아이에 맞게 알맞은 흔들기 놀이를 하는 것도 좋으며 이를 권장하는 책도 시중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기(혹은 아이)와 함께 할 수 있는 안전한 흔들기 놀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일단, 아기가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기에는 아기를 상하 혹은 좌우로 가볍게 흔드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롤링이라고 합니다. 아기가 점점 목을 가누기 시작하면 담요 위에 눕혀놓고 어른이 담요를 들어 그네 놀이를 해 주면 좋습니다. 아이의 발목을 잡고 거꾸로 들어서 시계추처럼 좌우로 흔들어 주는 것도 좋다고 합니다.
우리 아기를 위협할 수 있는 흔들림 증후군, 바로 배우고 알아서 아기를 보호해야 합니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임신,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울음소리 구별하기 (0) | 2018.04.21 |
---|---|
우리 아기 모로 반사 언제까지? (0) | 2018.04.20 |
사회성이 떨어지는 우리 아이 혹시 아스파거 증후군? (0) | 2018.04.17 |
아기 돌발진 증상과 대처법은 어떻게 될까 (0) | 2018.04.16 |
임산부 비타민D 결핍. 임산부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0) | 2018.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