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양수색전증의 위험성 아마 임산부들 중에서 양수색전증을 처음 들어보거나 들어는 봤지만 잘 모르는 분들이 많으실 것입니다. 그만큼 흔한 질병은 아닙니다. 통계적으로 만명당 한명 꼴로 걸리는 질병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임산부의 사망 원인중 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양수색전증입니다. 심지어 걸리면 사망률이 80%나 되고 양수색전증이 생긴 후 1시간 이내 사망이 50%라고 합니다. 또한 출산 중 사망하는 산모들의 25%가 양수색전증 때문이라고 하니 흔하지 않다고 무시할 수 없는 질병입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1년에 약 20명의 임산부들이 걸리는 질병이며 해마다 이 질병에 걸리는 임산부들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양수색전증에서 색전증이란 혈관이 막히는 증상을 말합니다. 그중 혈관이 양수에 의해 막..
전치태반 어떻게 할까요? 전치태반에 대해 알아보자 임신을 하고 나면 태아가 뱃속에서 건강하게 크는 것조차 쉬운 것이 아니었구나 하고 깨닫게 되는 부모들이 많을 것입니다. 작은 증상에도 혹시 태아에게 안 좋은 영향이 가는 것은 아닐까 걱정하고 태아가 문제없이 잘 자라고 있는 것일까 신경이 쓰입니다. 먹는 것 하나조차 태아를 생각해서 먹게 되고 태아의 상태에 따라 때로는 걷는 것조차 산모 마음대로 할 수 없습니다. 그중 반드시 제왕절개를 해야 할 수도 있는 전치태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치태반이란 태반이 자궁 출구에 매우 근접해서 자궁 출구의 일부를 가리고 있거나 자궁 출구의 전체를 막고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위 그림을 참고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위 그림에서 빨간 부분이 태반입니다. 정확히 구분..
임신 초기 콧물냉? 임신 막달 콧물냉? 콧물냉 알아보자 임신을 하면 엄마들은 태아에 관한 정보들을 많이 찾아볼 것입니다. 책도 보고, 카페도 가입하면서 공부하고 몸에 하나씩 생기기 시작하는 증상들을 무심하게 넘기지 못할 것입니다. 혹시 이 증상이 내가 책에서 본 그 증상일까 궁금하기도 하고 혹시 내게 혹은 태아에게 문제가 생겼나는 신호가 아닐까 걱정하기도 합니다. 제일 정확한 방법은 산부인과에 가서 의사와 상담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임신 중 여러 증상들이 나타났을 때 당황하거나 괜히 걱정하지 않도록 미리 알아두는 것도 좋습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임신 중 나타나는 콧물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콧물냉은 이슬을 얘기합니다. 이슬이란 콧물처럼 점성이 있고 누런색을 띄는 냉에 약간의 출혈의 흔적이 보이는 분비물..
아기 녹색똥을 싼다면? 신생아 변 색깔에 대해 알아보자 아기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중 하나가 아기의 변입니다. 아기의 건강이 안 좋아지면 바로 변 산태부터 바뀌기도 하기 때문에 변의 색깔이나 모양 등으로 아기의 건강 상태를 체크해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모들은 아기의 기저귀를 갈아줄 때 변의 상태를 같이 체크해야 합니다. 변이 흰색 빛, 녹색빛을 띄거나 평소보다 묽어졌다면 아기가 어디 아픈 것은 아닌지 관심 있게 지켜 보아야 합니다. 흔히 우리는 건강한 변을 황금 변이라고 부릅니다. 제일 건강한 변은 황금과 같이 약간 노란빛을 띄는 갈색 변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기의 건강 상태에 따라 때로는 검은색에 가까운 진한 고동색 변을 보기도 하고, 흰색 빛이 띄는 변을 보기도 하며 녹색 변 혹은..
2018 아동수당 신청 어떻게? 2018년 9월 첫 아동수당 지급이 시작된다고 합니다. 신청은 6월 20일 수요일부터 가능하다고 하니 해당 아동을 키우고 있는 부모들은 아동수당에 대해 미리 알아두어 잊지 않고 신청해야 합니다. 아동수당은 복지로 홈페이지에 따르면 아동의 건강한 성장 환경을 조성하여 아동의 기본적인 권리와 복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 외에도 소득 재분배, 아동 빈곤 감소, 여성의 지위 향상, 출산 장려 등 다양한 부분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이 아동수당의 지급입니다. 2018년도 올해 처음 아동수당 지급을 시작함으로써 우리나라도 이제 OECD 국가 중 아동수당을 지급하는 국가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OECD 31개국 중 아동수..